밥자리

누구나 ‘밥이나 한번 먹자’ 할 때 서로 관계를 확인하고 안심한다.

예수님의 공생활은 거의 밥자리의 연속이었다. 오죽했으면 그런 상황이 못마땅해서 사람들이 예수님을 “먹보요 술꾼”(마태 11,19 루카 7,34)이라며 비아냥거리기까지 했을까?

‘밥자리’를 가리키는 한자 말이 ‘회식會食’이다. 그때 쓰는 ‘모일 회會’는 시루 같은 것이 포개져 있는 형상의 ‘증曾’에 뚜껑을 덮은 꼴이다. 뚜껑 달린 그릇에 이것저것 넣고 끓이거나 조리하는 모양이다. ‘회식’은 그래서 스스럼없이 이런저런 얘기들이 자연스레 섞이고 어우러지는 자리이다. 관계의 불편부당을 끓여내는 자리이다. 그렇게 친구가 되는 자리이다.

‘친구’를 뜻하는 서양말 company도 cum(함께) + panis(빵) 이라는 라틴말에서 기원한다.

고달픈 인생살이 안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서라도 누군가와 함께 밥을 먹는 ‘밥자리’를 자주 고안해내야 한다. ‘박사보다 밥사, 석사보다 식사’라는 말이 팍팍한 우리 인생을 가끔은 생기 있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밥맛 떨어지게 하는 이들과 어쩔 수 없이 먹어야 하는 밥 말고, 밥맛 나게 하는 이들과는 밥을 같이 자주 먹어야 한다. 몸무게 걱정을 하는 부담이 다소 있더라도 우리가 몸 때문에 사는 것은 아닐진대 그리 해야 한다.(20160421*이미지 출처-영문 구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