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바리에서는 두 가지 사고방식이 충돌하였습니다. 복음에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주님의 말씀은 당신을 십자가에 못는 사람들의 말과 극명하게 대조를 이룹니다.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 사람들은 “너 자신이나 구해보아라”하고 계속 말합니다. 백성의 지도자들은 “이자가 다른 이들을 구원하였으니, 정말 하느님의 메시아, 선택된 이라면 자신도 구원해 보라지.”(루카 23,35)라고 말하고, 군인들도 “네가 유다인들의 임금이라면 너 자신이나 구원해 보아라.”(37절)라고 똑같이 말하며, 예수님과 같이 십자가에 달린 죄수 하나도 “당신은 메시아가 아니시오? 당신 자신과 우리를 구원해 보시오.”(39절)라고 되풀이합니다. ‘자신을 구원하라’, ‘너 자신을 구원하라’, ‘당신 자신과 우리를 구원하라’ 하는 말들은 계속해서 다른 이가 아닌 자신의 ‘안녕’과 ‘성공’, 그리고 자신의 ‘관심사’, 다시 말하자면, 너의 소유와 영향력과 이미지를 보살피고 그것에 집중하라는 말입니다. 이런 것이 주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 세상의 끊임없는 후렴구입니다. 이런 점에 대해서 생각해봅시다.
이러한 자기중심적인 사고에 맞서는 것이 하느님의 사고입니다. ‘자신을 구원하라’라는 주문에 자기 자신을 봉헌하신 구세주의 말씀이 대조됩니다. 오늘 복음에서는 예수님께서도 적대자들에 맞서시면서 세 번 말씀하십니다.(참조. 34.43.46절) 그러나 주님께서는 당신 자신을 위해서는 어떤 것도 말씀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렇다고 당신 자신을 옹호하거나 정당화하지도 않으셨습니다. (오직) 아버지께 기도하셨으며, 착한 죄수를 위해서 자비를 베푸셨습니다. ‘너 자신을 구원하라’는 주문에 맞서시는 주님의 말씀 중 하나는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루카 23,34)라는 말씀이었습니다.
주님의 말씀들에 관하여 묵상해봅시다. 주님께서 언제 이 말씀들을 하셨습니까? 아주 특별한 순간, 바로 십자가에 못 박히실 때였습니다. 못이 당신의 팔목과 발을 꿰뚫는 바로 그 순간이었습니다. 주님께서 당하셨을 극심한 고통을 한번 상상해보도록 합시다. 바로 그 순간 당신의 수난에서 육체적으로 가장 고통스러웠던 그 순간에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을 못 박는 이들을 위해 용서를 구하셨습니다. 우리라면 그런 순간에 온갖 분노와 고통으로 비명과 외마디를 질러 대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아버지 저들을 용서하십시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성경이 전해주는 다른 순교자들(참조. 2마카 7,18-19)과는 달리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사형 집행자들을 책망하거나 하느님의 이름으로 저주하며 위협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그렇게 악을 저지르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셨습니다. 굴욕적인 형틀에 묶여계시면서도 당신 자신을 내어주시는 용서의 모습이셨습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똑같이 하십니다. 우리가 우리의 (못된) 행실로 고통을 드리는데도 하느님께서는 고통을 받으시며 오직 한 가지 그저 우리를 용서하시고만 싶으십니다. 이것에 감사드리기 위해 십자가에 못 박히신 주님을 바라봅시다. 그분의 고통스러운 상처들에서, 우리의 죄로 못 박아 흘러내리는 그분의 피에서 용서가 솟구쳐나옵니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을 바라봅시다. 그리고 “아버지, 저들을 용서하소서.”라는 말씀보다 그 어떤 말도 더 위대한 말은 결코 없었다는 것을 깨닫도록 합시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을 바라보면서 이보다 더 부드럽고 더 자비로운 시선은 결코 없었다는 점을 깨우치도록 합시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을 바라보며 우리가 이보다 더 사랑스러운 포옹을 결코 받아본 적이 없다는 것을 깨우치도록 합시다.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을 바라보며 “당신께서는 제가 저 자신을 사랑하고 용서하기 어려울 때라도 저를 사랑하시고 언제나 용서해주시니 고맙습니다, 예수님!” 하고 말씀드립시다.
십자가에 못 박히시면서 고통이 절정에 이를 때,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계명 중에서 가장 힘든 계명인 “우리가 우리의 원수를 사랑해야 한다”라는 그 계명에 순종하셨습니다. 우리 삶에서 우리에게 상처를 준 사람이나 기분 나쁘게 한 사람, 실망하게 한 사람들, 우리를 화나게 하고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 혹은 우리에게 나쁜 표양이 된 사람들을 생각해봅시다. 우리에게 잘못한 그런 사람들을 되돌아보느라고 우리가 얼마나 많은 시간을 자주 허비했는지요! 우리가 얼마나 자주 뒤를 돌아보면서 다른 사람들이나 삶 자체, 우리를 오염시킨 과정들이나 그런 상처를 핥아대었는지요!
오늘 예수님께서는 그런 것들에 머물지 말고 악과 슬픔의 악순환을 끊어내도록 반응하라고 가르치십니다. 우리 삶에 박힌 못들에 사랑으로 반응하라고, 온갖 미움과 증오의 잔칫상에 용서의 포옹으로 반응하라고 가르치십니다. 예수님의 제자로서 우리는 우리의 스승이신 예수님을 따르고 있습니까, 아니면 우리 자신 안에 솟구쳐오르는 욕구들을 따르고 있습니까? 우리는 우리의 스승이신 예수님을 따르고 있습니까, 아닙니까? 이것이 바로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던져야 할 질문입니다.
우리가 진정으로 그리스도께 속한지 아니한지를 시험해보고 싶다면 우리에게 상처를 주는 이들을 우리가 어떻게 대하는지 보면 됩니다. 주님께서는 우리가 느끼는 대로 반응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하는 식으로 반응하지 말고 당신께서 우리를 대하시는 것처럼 우리가 반응하라고 요구하십니다. 주님께서는 “네가 날 사랑하면 나도 너를 사랑할 거야. 네가 나의 친구이면 나도 너의 친구가 될 거야. 네가 나를 돕는다면 나도 너를 도울 거야.”라는 식의 마음가짐에서 벗어나라고 요구하십니다. 하느님께서 한 사람 한 사람을 아들이나 딸로 보시듯이 우리도 모든 이를 사랑과 자비로 보아야 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착한 이나 악한 이, 친구나 원수로 구분하지 않으십니다. 우리가 (우리가 느끼는 대로 반응하거나 다른 이들이 하는 대로 나도 한다는) 그런 식으로 사람들을 대하면 우리는 하느님을 고통스럽게 해드리는 것입니다. 하느님께는 우리 모두 당신의 사랑하는 자녀요, 그저 안아주며 용서해주고 싶으신 자녀들입니다.
혼인 잔치의 비유에서 신랑의 아버지가 종들을 길거리로 내보내며 “고을 어귀로 가서 아무나 만나는 대로 잔치에 불러오너라. 그래서 그 종들은 거리에 나가 악한 사람 선한 사람 할 것 없이(건강한 이건 병약한 이건, 흑인이건 백인이건) 만나는 대로 데려왔다.”(마태 22,9-10) 한 것처럼 예수님의 사랑은 모든 이를 위한 것입니다. 누구나 사랑받고 용서받을 수 있는 동등한 특권을 지니고 있습니다.
복음에 따르면 예수님께서는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주십시오.”(루카 23,34) 하며 ‘계속’ 말씀하고 계셨다고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십자가에 못 박히시면서 이 말씀을 한 번만 하신 것이 아니라 십자가에 못 박히시는 내내 이 말씀을 당신 입술과 마음에 담고 계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용서하시는 데에 지치시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우리 머리로만이 아니라 마음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용서하시는 데에 지치시지 않습니다. 우리는 용서를 청하는 데에 쉽게 지치는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용서하시는 데에 지치시지 않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늘 그러려고 하는 것처럼 잠시 제쳐놓았다가 나중에 마음을 바꾸시는 분이 아닙니다.
“죄를 용서받아 구원됨을 주님의 백성에게 깨우쳐주려는 것”(루카 1,77)이라고 루카복음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바와 같이 예수님께서는 이를 위해 세상에 오셨습니다. “죄의 용서를 위한 회개가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든 민족들에게 선포되어야 한다.”(루카 24,47)라고 (루카복음의) 마지막에서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분명히 명령하셨습니다. 하느님의 용서를 선포하는 데에 절대로 지치지 맙시다. 우리 사제들은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용서를 받고, 용서를 증거하며, 용서를 집행하는 사람들입니다. 하느님의 용서에 절대 지치지 맙시다.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루카 23,34)(라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한 가지 더 살펴봅시다. 예수님께서는 (단지) 용서해주시라고 청하신 것뿐만 아니라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른다”라고 그 이유를 밝혀주십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는 것일까요?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사람들은 예수님의 죽음을 계획하고 체포와 구금을 조직했으며, 마침내 칼바리 위에서 그 죽음을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그리스도께서는 그렇게 폭력적인 인간들을 그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른다고 두둔하고 계십니다. (바로) 이것이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해 행동하시는 방식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청해서 우리의 두둔자가 되십니다.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맞서시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위해 우리의 죄들에 맞서십니다.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른다”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우리를 생각에 잠기게 합니다. 우리가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는 우리의 무지는 모두 죄인으로서 우리가 지닌 우리 마음의 무지입니다.
우리가 폭력에 의존하게 되면 우리는 우리의 아버지이신 하느님, 심지어 우리의 형제요 자매들인 타인에 관하여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 됩니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우리가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를 잃어버릴 뿐 아니라 결국 의미도 없는 잔혹함을 저지르게 됩니다.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다시 한번 그리스도께서 못 박히시는 전쟁이라는 미친 짓에서 봅니다. 남편이나 아들의 억울한 죽음을 슬퍼하는 어머니들 안에서 그리스도께서는 다시 한번 십자가에 못 박히십니다. 애들을 팔에 안고 폭탄을 피해 도망치는 난민들 안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십자가에 못 박히십니다. 그리스도께서는 홀로 남겨져 죽어가는 노인들, 미래를 빼앗긴 젊은이들, 자기 형제들과 자매들을 죽이라고 전장에 보내진 군인들 안에서 십자가에 못 박히십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오늘도 여전히 십자가에 못 박히고 계십니다.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라는 이 놀라운 말씀을 많은 이들이 들었으나 단 한 사람만이 이 말씀에 응답했습니다. 그는 예수님 옆에서 십자가에 못 박힌 죄수였습니다. 우리는 예수님의 자비가 그 죄수 안에 마지막 희망을 불러일으키시고, “예수님, … 저를 기억해주십시오.”(루카 23,42)라는 말을 그 죄수가 할 수 있도록 그를 이끄셨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 죄수가) “모든 이가 저를 잊었습니다. 그런데도 당신께서는 당신을 십자가에 못 박는 사람들을 계속 생각하시는군요. 당신과 함께라면 거기에 저를 위한 자리도 있겠습니다.”라고 말하는 듯합니다. 착한 죄수는 자기의 생이 끝나갈 때에 하느님을 받아들였고, 이렇게 그의 새로운 생명이 시작했습니다. 그는 “너는 오늘 나와 함께 낙원에 있을 것이다.”(루카 23,43)라는 말씀으로 이 세상이라는 지옥에서 하늘이 열리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것이 사형 선고를 받은 한 인간의 마지막 간청을 역사상 최초의 시성諡聖으로 바꾸어낸 하느님 용서의 놀라움입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이 성주간 동안 하느님께서 모든 죄를 용서하실 수 있다는 확실함에 우리를 붙들어 매도록 합시다. 하느님께서는 모든 이를 용서하십니다. “비탄을 춤으로 바꾸시고”(시편 30,12) 하듯이 하느님께서는 모든 슬픔을 춤으로 바꾸시고, 아무리 먼 거리距離라도 이으실 수 있는 분입니다. 예수님께는 언제나 모든 이를 위한 자리가 있다는 확신, 그리스도께라면 절대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 그리스도와 함께라면 결코 늦는 법이 없을 것이라는 확신 말입니다. 하느님과 함께라면 우리는 언제나 생명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용기를 내십시오! 하느님의 용서와 함께 부활절을 향해 나아갑시다. “그분께서는 당신을 통하여 하느님께 나아가는 사람들을 언제나 구원하실 수 있습니다.”(히브 7,25) 하는 말씀 그대로 그리스도께서 하느님 아버지께 우리를 위해 계속 간청하고 계십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의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 이 세상을 보시면서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라는 말씀을 되풀이하시는 데에 절대 지치지 않으십니다. 이제 우리도 (예수님과 똑같이) 침묵으로 우리 마음에서 “아버지, 저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모릅니다.”라고 되풀이합시다. 아멘!(교황 프란치스코, 2022년 4월 10일)
————————
CELEBRATION OF PALM SUNDAY OF THE PASSION OF THE LORD
HOMILY OF HIS HOLINESS POPE FRANCIS
St Peter’s Square
Sunday, 10 April 2022
On Calvary, two ways of thinking collided. In the Gospel, the words of the crucified Jesus are in sharp contrast with the words of those who crucified him. The latter keep saying: “Save yourself”. The leaders of the people said: “Let him save himself, if he is the Christ of God, his Chosen One” (Lk 23:35). The soldiers said the same thing: “If you are the King of the Jews, save yourself” (v. 37). Finally, one of the criminals, echoing their words, said to him: “Are you not the Christ? Save yourself” (v. 39). Save yourself. Take care of yourself. Think of yourself. Not of others, but only of your own well-being, your own success, your own interests: your possessions, your power, your image. Save yourself. This is the constant refrain of the world that crucified the Lord. Let us think about it.
Against this self-centred mindset is God’s way of thinking. The mantra “save yourself” collides with the words of the Saviour who offers his self. Like his adversaries, Jesus speaks three times in today’s Gospel (cf. vv. 34.43.46). Yet he did not claim anything for himself; indeed, he did not even defend or justify himself. He prayed to the Father and offered mercy to the good thief. One of his words, in particular, marked the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mantra “save yourself”. He said: “Father, forgive them” (v. 34).
Let us reflect on the Lord’s words. When did he say them? At a very specific moment: while he was being crucified, as he felt the nails piercing his wrists and feet. Let us try to imagine the excruciating pain he suffered. At that moment, amid the most searing physical pain of his Passion, Christ asked forgiveness for those who were piercing him. At times like that, we would scream out and give vent to all our anger and suffering. But Jesus said: Father, forgive them.
Unlike the other martyrs about whom the Bible speaks (cf. 2 Mac 7:18-19), Jesus did not rebuke his executioners or threaten punishments in the name of God; rather, he prayed for the evildoers. Fastened to the gibbet of humiliation, his attitude of giving became that of forgiving.
Brothers and sisters, God does the same thing with us. When we cause suffering by our actions, God suffers yet has only one desire: to forgive us. In order to appreciate this, let us gaze upon the crucified Lord. It is from his painful wounds, from the streams of blood caused by the nails of our sinfulness that forgiveness gushes forth. Let us look to Jesus on the cross and realize that greater words were never spoken: Father, forgive. Let us look to Jesus on the cross and realize that we have never been looked upon with a more gentle and compassionate gaze. Let us look to Jesus on the cross and understand that we have never received a more loving embrace. Let us look to the crucified Lord and say: “Thank you, Jesus: you love me and always forgive me, even at those times when I find it hard to love and forgive myself”.
There, as he was being crucified, at the height of his pain, Jesus himself obeyed the most demanding of his commandments: that we love our enemies. Let us think about someone who, in our own lives, injured, offended or disappointed us; someone who made us angry, who did not understand us or who set a bad example. How often we spend time looking back on those who have wronged us! How often we think back and lick the wounds that other people, life itself and history have inflicted on us. Today, Jesus teaches us not to remain there, but to react, to break the vicious circle of evil and sorrow. To react to the nails in our lives with love, to the buffets of hatred with the embrace of forgiveness. As disciples of Jesus, do we follow the Master or do we follow our own desire to strike back? This is a question we have to ask ourselves. Do we follow the Master or not?
If we want to test whether we truly belong to Christ, let us look at how we behave toward those who have hurt us. The Lord asks us to respond not as we feel, or as everyone else does, but in the way he acts toward us. He asks us to break out of the mindset that says: “I will love you if you love me; I will be your friend if you are my friend; I will help you if you help me”. Rather, we are to show compassion and mercy to everyone, for God sees a son or a daughter in each person. He does not separate us into good and bad, friends and enemies. We are the ones who do this, and we make God suffer. For him, all of us are his beloved children, children whom he desires to embrace and forgive. Just as in the parable of the wedding feast, where the father of the groom sends his servants into the streets and says: “Invite everybody: white, black, good and bad, everybody, the healthy, the sick, everybody…” (cf. Mt 22:9-10). The love of Jesus is for everyone; everyone has the same privilege: that of being loved and forgiven.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know not what they do. According to the Gospel, Jesus “kept saying” this (cf. v. 34). He did not say it once for all as he was being nailed to the cross; instead, he spent all his time on the cross with these words on his lips and in his heart. God never tires of forgiving. We need to understand this, not just in our minds, but also in our hearts. God never tires of forgiving. We are the ones who get tired of asking forgiveness. But he never tires of forgiving. He does not put up with us for a while and then change his mind, as we are tempted to do. Jesus – so the Gospel of Luke teaches us – came into the world to bring us forgiveness for our sins (cf. Lk 1:77). In the end, he gave us a clear command: to proclaim forgiveness of sins to everyone in his name (cf. Lk 24:47). Let us never grow tired of proclaiming God’s forgiveness: we priests, of administering it; all Christians, of receiving it and bearing witness to it. Let us never grow tired when it comes to God’s forgiveness.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know not what they do. Let us observe one more thing. Jesus not only asked that they be forgiven, but also mentioned the reason why: for they know not what they do. How could that be? Those who crucified him had premeditated his killing, organized his arrest and trials, and now they were standing on Calvary to witness his death. Yet Christ justifies those violent men by saying: they know not. That is how Jesus acts in our regard: he makes himself our advocate. He does not set himself against us, but for us and against our sins. His words make us think: for they know not. It is the ignorance of the heart, which all of us have as sinners.
When we resort to violence, we show that we no longer know anything about God, who is our Father, or even about others, who are our brothers and sisters. We lose sight of why we are in the world and even end up committing senseless acts of cruelty. We see this in the folly of war, where Christ is crucified yet another time. Christ is once more nailed to the Cross in mothers who mourn the unjust death of husbands and sons. He is crucified in refugees who flee from bombs with children in their arms. He is crucified in the elderly left alone to die; in young people deprived of a future; in soldiers sent to kill their brothers and sisters. Christ is being crucified there, today.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know not what they do. Many people heard these extraordinary words, but only one person responded to them. He was a criminal, crucified next to Jesus. We can imagine that the mercy of Christ stirred up in him one last hope and led him to speak these words: “Jesus, remember me” (Lk 23:42). As if to say: “Everyone else has forgotten me, yet you keep thinking of those who crucify you. With you, then, there is also a place for me”. The good thief accepted God as his life was ending, and in this way, his life began anew. In the hell of this world, he saw heaven opening up: “Today you will be with me in Paradise” (v. 43). This is the marvel of God’s forgiveness, which turned the last request of a man condemned to death into the first canonization of history.
Brothers and sisters, in the course of this week, let us cling to the certainty that God can forgive every sin. He forgives everyone. He can bridge every distance, and turn all mourning into dancing (cf. Ps 30:12). The certainty that with Jesus there is always a place for everyone. That with Christ things are never over. That with him, it is never too late. With God, we can always come back to life. Take courage! Let us journey toward Easter with his forgiveness. For Christ constantly intercedes for us before the Father (cf. Heb 7:25). Gazing upon our violent and tormented world, he never tires of repeating: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know not what they do. Let us now do the same, in silence, in our hearts, and repeat: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know not what they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