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文’은 ‘글월 문文’이라고 하거나 ‘등 글월 문’이라 하기도 한다. 글자의 생김새가 등을 돌린 사람 모양이라는 뜻이다. 획수나 모양이 비슷하여 ‘몽둥이 수殳’나 ‘칠 복攵’과 같은 글자로 보기도 하지만, ‘글월 문文’은 역사나 내력을 가진 글자로서 자기 고유의 뜻을 지니고 오랜 세월을 살았다. 신발 치수를 가리키는 말이나 사람들 성姓의 하나인 것을 떠나서 수십 가지의 뜻을 지니면서 일반적으로는 ‘문장文章’이라는 뜻과 함께 ‘무武’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학문學問ㆍ학예學藝ㆍ문학文學ㆍ예술藝術 등을 이른다. 500년도 넘는 세월 전 1446년의 훈민정음 언해본에 ‘글월’을 ‘글왈’이라 했다는 기록이 있고, 그 ‘글왈’과 근접한 말로 ‘글발(=적어놓은 글-표준 국어대사전)’이라는 말이 있다니 ‘문文’이라는 글자를 두고 ‘글월 문’이라 한 것은 흔히 ‘말발이 세다’ 할 때처럼 ‘글발이 그럴듯하다’라는 뜻을 담아 ‘아름답고 수려한 글’을 뜻하고자 했던 것일까?
‘글월 문文’이라는 글자는 상형문자이다. 혹자는 양팔과 두 다리를 활짝 벌리고 서 있는 사람의 모양을 본뜬 ‘큰 대大’의 다리 부분이 양쪽으로 꼬아져 양반다리를 하고 앉아서 공부하는 모양이라 하기도 하지만, 원래는 그림처럼 사람의 가슴 부위에 문신으로 기호나 무늬를 새긴 모습이다. 고대에는 종교적 의식과 아이가 성인이 되어 부족사회의 구성원에 들어오는 통과의례로서 가슴에 문신을 새기든가, 혹은 죽음으로 영혼이 육체를 떠나는 것을 표시하느라고 시체의 가슴팍에 생채기를 내서 치장하는 의식으로서 문신을 새기든가 물감으로 장식하는 일이 있었으며 그것을 나타내는 것이 ‘문文’이다.
그렇게 문신→무늬→글자→문장→학문→문화文化→문명… 이런 식으로 ‘문文’은 뜻이 발전한다. ‘문장文章’이란 단어에 나오는 ‘글 장章’이라는 글자도 문신을 새기는 침(매울 신辛)과 문신의 모양(이를 조早)이 들어 있는 글자이다. 영어로 tattoo인 ‘문신文身’이라 할 때도 ‘몸 신身’에 ‘글월 문文’을 붙인다. ‘실 사糸(=실)’를 옆에 붙여 만든 ‘무늬 문紋’은 실로 짜는 옷감이나 천에 문신을 새기듯 무늬 새긴 것이다. ‘실 사糸(=실)’를 밑에 붙여 만든 ‘어지러울 문紊’자는 ‘실(糸)로 짠 무늬(文)가 어지럽다’라는 뜻이어서 ‘문란紊亂’ 하면, ‘어지럽고(紊) 어지럽다(어지러울 난/란亂)’는 뜻이다. ‘흩어질 산散’을 붙여 ‘산문散文’이 되면 ‘정돈되지 않고 흩어진(散) 글(文)’로 일정한 형식이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문장이고, ‘운 운韻’을 붙여 ‘운문韻文’이 되면 ‘운율(韻)이 있는 글(文)’로서 보통 시詩의 형식으로 지은 글이다.
가슴에 새긴 무늬처럼 소박하더라도 가슴으로 쓰는 글이 좋은 글이라 했다. 가슴으로 새겨서 쓰는 글은 다른 사람의 가슴에도 자국을 남기는 글이 되기 때문이다. 제대로 글을 쓰는 이들은 깊은 생각과 삶을 담아 원고지에 펜이나 연필로 한 자 한 자 꾹꾹 눌러 쓴다고 하지만 요즘엔 가당찮게 종이 없이 디지털 화면에 자판으로 쳐댄다.
글을 쓰다 보면 보아주는 이가 누구인지도 모르는 이 글을 내가 왜 이렇게 쓰고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토마스 머튼Thomas Merton(1915~1968년) 같은 이는 글쓰기만이 침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고 거룩함에 이르는 자신의 길임을 알아서 쓴다고 하지만, 나 같은 이에게는 아마도 너무도 부끄러운 내 마음속을 그 누구에게도 열어 보일 용기가 없어서, 그래도 살아있어서, 개발새발 무늬를 새겨가듯이 끄적거리는 것일 거다. 그러다가 얼핏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게 어떤 문장, 어떤 단어들에 살짝살짝 자기의 속마음을 담아 흔적을 남기는, 아마 남모르는 고백일 것이다. 그래서 쓸 것이다.
일찍이 모세는 하느님의 마음을 돌 판에 새겼다.(참조. 탈출 34,28) 그리고 하느님께서 그것을 몸소 돌 판에 “써서 주셨다”(신명 4,13;10,4)라고 표현한다. 하느님께서 내 마음에 ‘써서 주신 것’은 선명하였겠지만, 나의 어지러움으로 난수표처럼 뒤엉켜버린 그 글자들을 한 글자라도 읽어낼 수 있을까? 내가 과연 내 마음에 다시 새겨야 하고, 누군가의 마음에 새기고 싶은 것은 무엇일까? 내 인생 안에 하느님께서 새겨 주신 무늬를 어떻게 보존하고 어떻게 내보여야 할까? 어쩌면 이미 뭉그러져 버렸을 그 무늬들은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20171122 *이미지-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