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취할 취醉

한자에서 술에 취한 상태를 묘사하는 글자들은 많다. ‘주정酒酊’이라 할 때의 ‘술 취할 정酊’이 있고, 곤드레만드레 취하고 고주망태가 된 ‘명정酩酊’에서 꽥꽥 나의 이름이나 상대방의 이름을 불러대는 ‘(이름 명名이 붙어 있는) 술 취할 명酩’도 있으며, ‘질그릇 도匋’와 함께 술에 취해 사발이 깨지는 소리가 날 정도의 ‘술 취할 도醄’가 있고, 술이 거나하고 분위기가 훈훈하게 좋은 ‘술 취할 훈醺’도 있다. ‘취醉’라는 글자는 ‘취할 취’라고 하지만 같은 훈과 음으로 부르는 ‘취할 취取’라는 글자가 또 있으므로 앞에 ‘술’을 붙여 ‘술 취할 취’라고 하고, ‘취할 취取’는 그 뜻을 받아서 통상 ‘가질 취’라고 한다.

‘술 취할 취醉’는 ‘술/술병/닭 유酉’와 ‘마칠 졸卒’의 합자이다.(‘마칠 졸卒’은 ‘옷 의衣’와 ‘열 십十’이 더해져서 옷에 표시가 되어 있는 병졸이어서 전장에서 소모품으로 ‘죽고, 마치고, 끝나고 마는’ 뜻을 가진 슬픈 글자이다) 술병과 마침의 뜻을 합하여 ‘술 취할 취醉’라는 글자가 된 것이니 ‘술 취할 취醉’는 놓여있는 술을 다 마셔 취한 상태를 말한다. 있는 대로 다 마시면 그렇게 취하니 술 취하지 않으려면 다 마시지 말라는 경고의 뜻을 역설적으로 담으려 했던 것일까?

술에 취한 사람을 ‘취한醉漢’이나 ‘취객醉客’이라 하고, 술에 취해서 흥이 난 경우를 ‘취흥醉興’이라 하며, 술 취해서 살다가 결국 헛된 꿈속에서 죽어가는 것을 ‘취생몽사醉生夢死’라 하고, 술 취한 얼굴은 ‘취안醉顔’이며, 술에 몹시 취한 것을 ‘대취大醉’라 하고, 술에 완전히 취한 것은 ‘만취滿醉’라 하며, 술에 취한 모습을 ‘취태醉態’라 하는데 ‘취태醉態’는 곧 ‘추할 추醜’로 변화되면서 ‘추태醜態’가 된다. 무엇엔가 술 취한 듯 마음이 쏠려있는 것을 ‘심취心醉’라 하고, 마음이 가는 방향을 가리키는 것은 ‘뜻, 달릴, 재촉할 취趣’와 함께 ‘취향趣向’이지만, 술에 취해서 엉뚱한 곳에 가 있는 것은 ‘취향醉鄕’이라 하고, 술에 취해 있는 동안을 ‘취중醉中’이라 한다.

술은 기분 좋을 만큼만 마시자 하기도 하고, 술도 음식이고 심지어 약藥과도 같은 것이니 몸에 좋을 만큼만 마시자 하기도 한다. 술은 분명 인간사의 애환이나 기쁨에 관련된 시詩나 노래와 연관이 있음이 틀림없다. 이백李白이 ‘술 한 말에 시가 백편(斗酒詩百篇)’이고 자칭 ‘술 취한 신선(自稱臣是酒中仙)’이라 했으며, 취음선생醉吟先生이라 불렸다는 백거이白居易는 술과 시, 그리고 거문고 세 친구를 얻었다고 노래했다지만, 이렇게 술이라도 먹어야만 드러나고 은유되는 것이 인간사이고 술을 떠나서는 진실한 노래가 되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아니 어쩌면 애초에 신神의 모습을 지녔으나 신이 아닌 인간의 마지막 임계점에 가닿을 수 있는 위험한 수단이라는 의미에서 술은 본성적으로 보통의 인간이 마셔서는 안 되는 신神들의 음료였는지도 모른다. 그런 것을 일반 인간이 범접하여 마시면 자칫 인간의 한계를 넘어가기 때문에 얼굴이 평상시와 달리 붉어지고 비틀거리기도 하며 마치 인간이 만능의 신神이 된 양 호기를 부리기도 하고 마시지 말아야 할 것을 마셨으므로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내느라 웩웩거리며 인간에게는 없는 꼬리를 흔들며 토해내기도 하는 것일까!

대부분의 보통 사람들에게 술은 패가망신이다. 그래서 성경에서 술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보이면서 술을 경계하라 한다. “술 취한 자들아, 깨어나 울어라. 술꾼들아, 너희 입에 들어가다 만 포도주를 생각하며 모두 울부짖어라.”(요엘서 1,5) “(그릇된 사제들과 예언자들) 이자들마저 포도주에 취해 휘청거리고 술에 취해 비틀거린다. 사제와 예언자가 술에 취해 휘청거리고 포도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한다. 술로 비틀거리고 환시 중에도 휘청거리며 판결을 내릴 때에도 비척거린다. 정녕 식탁마다 토한 것으로 그득하여 더럽지 않은 곳이 없다.”(이사 28,7-8) 한다.

술이 는다. 박카스만 마셔도 붉어지던 녀석이 어느새 한 병을 거뜬히 마시고 두 병을 마신다. 조금만 마셔도 다음날 시달리던 몸이 이제는 포기하고 적응했는지 말짱하며 술병 모양의 글자로 만들어진 ‘酉’의 때 유시酉時를 금세 다시 기웃거린다.(20180107 *이미지-구글)

One thought on “술 취할 취醉

  1. 작년 8월 딸에게 생일 선물로 막걸리를 만들어주었다. 아직 미숙한 나는 숙성 시간을 생일 날짜와 못 맞춰서 생일 이틀이 지나서 부터야 맛이나는 막걸리를 맛볼 수 있었지만…만든 막걸리는 그달 내내 좋은 반주 역할을 했고 아쉬운 얼굴로 마지막 방울까지 선물로 주기보단 받은 기억으로 남아있다. 주고 받으며 함께한 spirits(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