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enjikim.com/wp-content/uploads/2025/02/cq5dam.web_.800.800.jpeg)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올 희년은 인간과 지구를 위한 새로운 시작입니다. 모든 것을 하느님의 꿈 안에서 다시 생각해야만 하는 때입니다. 우리는 “회개”라는 말이 방향의 전환을 가리킨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마침내 모든 것을 다른 관점에서 볼 수 있어야 우리의 발걸음이 새로운 목표들을 향하여 나아갑니다. 그렇게 절대 실망하지 않는 희망이 생겨납니다. 성경은 이에 관해 여러 방식으로 이야기를 해 줍니다. 우리 역시 신앙 체험 안에서 우리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사람들, 말하자면 하느님의 꿈에 들어간 사람들을 만나 자극을 받습니다. 세상에는 악이 많기도 하지만 어떤 분이 (어떻게) 다른지를 우리는 식별할 수 있습니다. 자주 미소微小함과 동일시되는 위대함으로 우리를 정복하는 분들 말입니다.
이 점에 관해 복음에서는 마리아 막달레나가 단연 돋보입니다. 예수님께서 자비로 그녀를 낫게 해 주셨습니다.(참조. 루카 8,2) 그리고 그녀는 변했습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자비가 바꿉니다. 자비가 마음을 바꿉니다. 자비가 마리아 막달레나를 하느님의 꿈으로 다시 데려가고, 그녀의 여정에 새로운 목표를 주었습니다.
요한복음은 그녀가 부활하신 주님을 만난 이야기를 전해주면서 우리가 생각에 잠기게 합니다. “돌아선 마리아”(요한 20,14 참조. 요한 20,16)에서 보듯이 복음은 마리아의 “돌아서는” 모습을 반복해서 전합니다. 복음사가께서는 단어를 참 잘 선택하십니다! 눈물을 흘리며 마리아는 먼저 무덤 안을 들여다본 다음, 부활하신 분께서 죽음 편에 계시지 않고 생명의 편에 계신다는 것을 알고 돌아섭니다. (“누가 저의 주님을 꺼내 갔습니다. 어디에 모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면서 천사들과 대화한 다음 “뒤로 돌아선 마리아는 예수님께서 서 계신 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이신 줄은 몰랐습니다.”)
우리가 매일 만나는 사람 중 하나려니 생각했을 텐데, 예수님께서 “마리아야!” 하고 이름을 부르시는 것을 듣고 “마리아는 (다시) 돌아서서”(요한 20,16)라고 복음은 말합니다. 그렇게 그녀의 희망이 생겨납니다. (그렇게 돌아선) 마리아는 이제 무덤을 보지만 예전처럼 보지는 않습니다. (주님께서 자기 이름을 불러주셨기 때문에) 눈물을 닦을 수 있었습니다. 오직 스승님만이 그런 식으로 자기 이름을 부르시기 때문입니다. 낡은 옛 세상이 여전히 거기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더는 그렇지 않습니다. 성령께서 우리 마음 안에서 활동하시는 것을 느낄 때 우리는 주님께서 우리를 이름으로 부르신다고 느낍니다. (과연) 우리는 스승님의 목소리를 어떻게 식별하는지 알고 있습니까?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교회의 전통에서 “사도 중의 사도”라고 부르는 마리아 막달레나를 통해 우리는 희망을 배웁니다. 누구나 (적어도) 한 번 이상의 회개를 통해 새로운 세상에 들어갑니다. 우리의 여정은 관점을 바꾸라는 끊임없는 초대입니다. 부활하신 분께서는 우리가 이미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전제 아래 우리를 한 걸음씩, 한 걸음씩 당신의 세상으로 데려가십니다.
오늘 우리 자신에게 물어봅시다. 과연 나는 사물을 다르게 보기 위해, 다른 시선으로 ‘돌아서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회개를 바라고 있습니까?
자신만만한 나, 너무 교만한 나는 부활하신 주님을 알아보지 못하게 방해합니다. (마리아가 예수님께서 서 계신 것을 보았으면서도 예수님이신 줄은 몰랐던 것처럼, 참조. 요한 20,14) 실제 오늘날에도 그분의 기다림은 우리가 쉽게 지나쳐버릴 수 있는 평범한 사람의 모습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눈물을 흘리고 절망할 때도 우리는 그분께 등을 돌리고 맙니다. 빈 무덤, 과거라는 어둠에서 보지 말고, 마리아 막달레나처럼 생명을 향해 돌아서는 법을 배웁시다. 그곳에서 우리의 스승님께서 우리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그곳에서 우리의 이름을 부르십니다.
언제 어디서나 현실의 삶 안에 우리를 위한 자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당신을 위한 자리, 나를 위한 자리, 누구에게나 각자 모두를 위한 자리가 있습니다. 언제나 우리를 위한 자리이기 때문에 누구도 그 자리를 뺏어갈 수는 없습니다. “여긴 내 자리니까 내가 가지 않을 때는 비워두어야……” 하는 식으로 못되게 말하면서 자리를 빈자리로 비워두는 것은 나쁩니다. 나쁘고 말고요. 누구나 “내 자리가 거기에 있어. 내가 바로 사명이요 임무야!”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내 자리”가 (과연) 무엇인지, 주님께서 내게 주신 사명이 무엇인지 한번 생각해보십시오.
이러한 생각이 인생에서 용기 있는 태도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교황 프란치스코, 희년 교리교육-일반 알현, 2025년 2월 1일 *영어와 약간 다른 부분들은 이탈리아어를 참조했음)
————————
CATECHESIS OF HIS HOLINESS POPE FRANCIS
Audience Hall
Saturday, 1 February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The Jubilee is for people and for the Earth a new beginning; it is a time when everything must be rethought within the dream of God. And we know that the word “conversion” indicates a change of direction. Everything can be seen, at last, from another perspective, and so our steps also go towards new goals. This is how hope, which never disappoints, arises. The Bible tells of this in many ways. And for us too, the experience of faith has been stimulated by encounters with people who have been able to change in life and have, so to speak, entered into God’s dreams. For even though there is much evil in the world, we can distinguish who is different: their greatness, which often coincides with littleness, wins us over.
In the Gospels, the figure of Mary Magdalene stands out above all others for this. Jesus healed her with mercy (cf. Lk 8:2), and she changed: sisters and brothers, mercy changes, mercy changes the heart, and for Mary Magdalene, mercy brought her into God’s dreams and gave new purpose to her journey.
The Gospel of John tells of her encounter with the Risen Jesus in a way that makes us think. It is repeated several times that Mary turned around. The Evangelist chooses his words well! In tears, Mary looks first inside the tomb, then she turns around: the Risen one is not on the side of death, but on the side of life. He can be mistaken for one of the people we encounter every day. Then, when she hears her name spoken, the Gospel says that again Mary turns around. And this is how her hope grows: now she sees the tomb, but not like before. She can dry her tears, because she has heard her own name: only the Master pronounces it in this way. The old world still seems to be there, but it is no more. When we feel that the Holy Spirit is acting in our heart, and we feel that the Lord is calling us by name, do we know how to distinguish the voice of the Master?
Dear brothers and sisters, from Mary Magdalene, whom tradition calls “the apostle of the apostles”, we learn hope. One enters the new world by converting more than once. Our journey is a constant invitation to change perspective. The Risen One takes us into His world, step by step, on the condition that we do not claim to know everything already.
Let us ask ourselves today: do I know how to turn around to see things differently, with a different outlook? Do I have the desire for conversion?
An overconfident ego that is too proud prevents us from recognizing the Risen Jesus. Even when we weep and despair, we turn our back on Him. Instead of looking into the darkness of the past, into the emptiness of a tomb, from Mary Magdalene we learn to turn towards life. There our Master awaits us. There our name is spoken. For in real life there is a place for us, always and everywhere. There is a place for you, for me, for everyone. No one can take it, because it has always been meant for us. It is bad, as they say in the common parlance, it is bad to leave an empty seat: “This place is for me; if I don’t go…”. Everyone can say: I have a place, I am a mission! Think about this: what is my place? What is the mission that the Lord gives us? May this thought help us to take a courageous attitude in life. Thank you.
막달….
막..달래려다, 마리아가 되신… 마리아 막달…. 이 글을 읽고 나니 왜 전 막걸리가 갑자기 생각나버린 겐지… 도데췌가…… ㅠㅠ 회개해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