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은 예수 성심 성월이다. 2020년 6월 7일 정오, 늘 그러하듯이 교황 프란치스코는 교황의 발코니에서 베드로 광장에 모인 신자들과 삼종 기도를 함께 바치면서 그날(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의 전례 복음을 간단히 해설하고 인사를 전했는데, 말미에 할머니에게서 배웠다는 짧은 기도문 하나를 소개하며 신자들이 큰 소리로 이를 따라 해 보도록 하였다. 이는 예수 성심 성월을 보내는 이들이라면 누구에게라도 아름다운 기도문이 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를 소개하기 위해 삼종 기도 훈화 전문 번역을 소개한다.
***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좋은 아침입니다!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인 오늘 복음(요한 3,16-18)에서 복음사가 요한은 간결한 언어로 세상과 피조물들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을 보여줍니다. 예수님께서는 니코데모와 몇 마디를 주고받으신 후에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너무나 사랑하신 나머지 외아들을 내주시어,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나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다.”(요한 3,16)라고 말씀하시면서 자신이 세상을 향한 아버지의 구원 계획을 성취하시는 분이라고 소개합니다.
이 말씀은 성부, 성자, 성령으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께서 인간과 세상을 구원하고자 하시는 유일한 사랑의 계획, 우리 구원의 계획을 가리킵니다. 하느님께서 창조하신 세상은 아름답고 좋았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죄 이후에 세상은 악과 부패로 물들었습니다. 우리 모든 인간은 죄인들입니다. 그래서 하느님께서는 세상을 심판하시고 악을 부수시며 죄인들을 벌하실 수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대신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죄들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사랑하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실수를 범하고 당신께서 멀어질 때도 우리 하나하나를 사랑하십니다. 하느님 아버지께서는 그렇게도 세상을 사랑하셔서 세상을 구원하고자 하셨습니다. 그래서 당신의 가장 귀한 외아드님, 인간을 위해 생명을 내어놓으시고 부활하시어 아버지께로 돌아가시고, 아버지와 함께 우리에게 성령을 보내실 아드님을 세상에 보내주셨습니다. 그렇게 삼위일체는 전적으로 세상을 섬기고자 하시는 ‘사랑’이시니 세상을 구하며 다시 창조하시고자 하십니다. 오늘 우리는 성부, 성자, 성령을 생각하며 하느님의 사랑을 생각합니다! “하느님께서 나를 사랑하신다!” 하면서 하느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있음을 느끼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지요! 이것이 오늘 우리가 갖는 느낌입니다.
예수님이 하느님께서 세상을 사랑하시어 당신의 외아들을 내주셨다고 분명하게 말씀하실 때 우리는 창세기에서(참조. 창세 22,1-14) 아브라함이 자기 아들 이사악을 제물로 봉헌했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됩니다. 하느님의 사랑은 도저히 ‘헤아릴 길이 없는(immeasurable measure, 이탈리아어-misura senza misura)’ 사랑입니다. 하느님께서 모세에게 어떻게 당신 자신을 계시하셨는지도 생각해봅시다. 매우 부드럽고도, 자애롭게, 은혜로우면서도 분노하기에 더디시며, 변함없는 사랑과 신실함으로 우리를 대하신 하느님이십니다.(참조. 탈출 34,6) 하느님과의 이러한 만남이 모세에게 용기를 주었습니다. 탈출기가 우리에게 알려주는 대로 모세는 주님과 주님의 백성 사이에서 “주님, 제가 정녕 당신 눈에 든다면, 주님께서 저희와 함께 가 주시기를 바랍니다. 이 백성이 목이 뻣뻣하기는 하지만, 저희 죄악과 저희 잘못을 용서하시고, 저희를 당신 소유로 삼아 주시기를 바랍니다.”(탈출 34,9) 하며 두려워하지 않고 주님께 말씀드릴 수가 있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하느님께서 당신의 외아들을 보내주시기까지 하느님께서 하신 일입니다. 우리는 성령과 함께 아드님 안에서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유산입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오늘 대축일은 우리가 다시 한번 하느님의 아름다우심, 선하심, 무궁한 진리이심에 빠져들도록 우리를 초대합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아름다움, 선하심, 그리고 (그토록) 겸손하시고 (그토록 우리와) 가까우신 진리께서 육신을 취하시어 우리의 삶과 역사, 나의 역사, 우리 각자의 역사에 들어오셨습니다. 그래서 모든 인간이 그분을 만나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셨습니다. 이것이 우리의 신앙입니다. 사랑이신 하느님을 기꺼이 모시고,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을 내어주신 사랑이신 하느님을 받아 모시는 것, 성령 안에서 우리를 움직이시는 분을 (알아) 모시는 것, 그렇게 우리가 그분을 만나고 그분을 믿는 것, 이것이 우리의 신앙입니다. 이것이 그리스도인의 삶입니다. 하느님을 사랑하고, 하느님을 만나며, 하느님을 찾는 것, 그러나 (우리가 그분을) 찾기 전에 그분께서 우리를 먼저 찾으시고 우리를 먼저 만나러 오신다는 것을 (아는 것이) 우리의 삶입니다.
삼위일체의 처소이신 동정녀께서 우리가 하느님의 사랑에 마음을 열어 그분을 (기꺼이) 맞아들이도록 도와주시기를 청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기쁨으로 가득하고, 우리의 이 지상 여정에 의미를 주며, 하늘이라는 우리의 목적지로 우리를 항상 인도해주시도록 청합니다.
삼종 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로마의 시민 여러분과 순례객들, 개인이거나 가족, 그리고 수도자들의 공동체 모두에게 인사를 드립니다. 여러분이 광장에 이렇게 모이신 것은 ‘코비드 19’라는 전염병 상황이 지나갔다는 표시이지만 주의하십시오. 아직, 너무 빨리 “승리!”를 장담하지는 마십시오! 주어진 지침들은 바이러스의 진행을 예방하고자 하는 지침들이니 이들을 주의 깊게 따라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느님 덕택에 우리가 더 강해졌지만, 관리 당국이 마련한 처방이 여전히 우리에게 주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다른 나라들에서는 – 저는 여러 나라를 생각합니다 – 여전히 바이러스가 많은 희생자를 낳고 있습니다. 어떤 나라에서 지난 금요일에는 1분에 한 명꼴로 사람들이 죽어갔습니다! 끔찍한 일입니다. 저는 그런 나라들의 국민들, 편찮으신 분들과 그 가족들, 그리고 그분들을 돌보시는 모든 분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기도로 그분들과 함께합시다.
6월은 예수 성심께 특별히 봉헌된 달입니다. 예수 성심 사랑은 위대한 영적 스승들과 소박한 하느님 백성을 하나로 묶어주는 신심입니다. 실로 인간이시며 하느님이신 예수님의 마음은 우리가 언제라도 하느님의 자비와 용서, 그리고 온유하심을 길어내는 샘(원천)이십니다. 복음의 어떤 구절에 집중하여 예수님의 모든 동작과 모든 말씀을 중심으로 예수님의 마음을 느껴볼 수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사랑, 당신의 아드님을 보내시는 하느님의 사랑, 우리 안에 계시는 성령의 사랑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하느님의 사랑, 성사 안에 계시는 성체를 찬미하며 예수님의 마음을 경배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하다 보면 예수님의 마음을 따라 우리의 마음도 조금씩 조금씩 좀 더 인내로워지고, 좀 더 관대해지며, 좀 더 자비로워지게 됩니다. 오래된 기도 하나가 있습니다. 저는 이 기도를 저의 할머니에게서 배웠습니다. “예수님, 제 마음이 당신의 마음을 닮게 하소서!(Jesus, make my heart resemble yours! / 이탈리아어-Fa’ il mio cuore simile al tuo!)” 짧지만 예수 성심 성월 동안 드릴 수 있는 아름다운 기도입니다. 지금 한 번 같이 해 볼까요? “예수님, 제 마음이 당신의 마음을 닮게 하소서!” 한 번 더, “예수님, 제 마음이 당신의 마음을 닮게 하소서!”
모두 행복한 주일이 되시기를 빕니다. “행복하고 뜨거운 주일”이라고 말하려던 참이었습니다. 행복한 주일이 되십시오. 저를 위한 기도를 잊지 마십시오. 점심 맛있게 드세요. 또 만납시다.
————————
Dear Brothers and Sisters, Good morning!
Today’s Gospel (cf. Jn 3:16-18), on the Feast of the Most Holy Trinity, demonstrates — with the Apostle John’s succinct language — the mystery of God’s love for the world, his creation. In the brief dialogue with Nicodemus, Jesus presents himself as the One who brings to fulfilment the Father’s plan of salvation for the world. He affirms: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ly Son” (v. 16).
These words are to indicate that the action of the three divine Persons — Father, Son and Holy Spirit — is all a single plan of love that saves humanity and the world; it is a plan of salvation for us. The world God created was good, beautiful, but after sin, the world is marked by evil and corruption. We men and women are sinners, all of us; hence, God could intervene to judge the world, to destroy evil and castigate sinners. Instead, He loves the world, despite its sins; God loves each one of us even when we make mistakes and distance ourselves from him. God the Father loves the world so much that, in order to save it, He gives what is most precious to Him: his only-begotten Son, who gives his life for humanity, rises again, returns to the Father and together with him sends the Holy Spirit. The Trinity is therefore Love, wholly at the service of the world, which He wishes to save and re-create. And today, thinking of God the Father, Son and Holy Spirit, we think of God’s love! And it would be beautiful if we felt that we were loved: “God loves me!”. This is today’s sentiment.
When Jesus affirms that the Father has given his only-begotten Son, we spontaneously think of Abraham and his offering of his son Isaac, of whom the Book of Genesis speaks (cf. 22:1-14): this is the “immeasurable measure” of God’s love. And let us also think of how God reveals himself to Moses: full of tenderness, merciful, gracious, slow to anger, and abounding in steadfast love and faithfulness (cf. Ex 34:6). The encounter with this God encouraged Moses, who, as the Book of Exodus tells us, was not afraid to stand between the people and the Lord, saying to Him: although it is a stiff-necked people, pardon our iniquity and our sin, and take us for thy inheritance (cf. 34:9). And this is what God did, by sending his Son. We are children in the Son with the strength of the Holy Spirit! We are God’s legacy!
Dear brothers and sisters, today’s Feast Day invites us to let ourselves once again be fascinated by the beauty of God; beauty, goodness and inexhaustible truth. But also beauty, goodness, and humble and close truth, which became flesh in order to enter our life, our history, my history, the history of each one of us, so that every man and woman may encounter it and have eternal life. And this is faith: to welcome God-Love; to welcome this God-Love who gives himself in Christ, who moves us in the Holy Spirit; to let ourselves be encountered by him and to trust in him. This is Christian life. To love, to encounter God, to seek God; and He seeks us first; He encounters us first.
May the Virgin Mary, dwelling-place of the Trinity, help us to welcome with an open heart the love of God, which fills us with joy and gives meaning to our journey in this world, always guiding us towards our destination, which is Heaven.
After the Angelus, the Holy Father continued:
Dear brothers and sisters, I greet you all, people of Rome and pilgrims: individual faithful, families, and religious communities. And also your presence in the square is a sign that in Italy the acute phase of the epidemic has passed, but be careful, do not sing ‘Victory!’ yet, do not celebrate victory too soon! It remains necessary to carefully follow the rules in force, because they are rules that help us prevent the virus from advancing. Thanks be to God we are coming out of it stronger, but always with the prescriptions that the authorities give us. But unfortunately in other countries — I am thinking of several — the virus continues to claim many victims. Last Friday, in one country, one person died every minute! Terrible. I wish to express my closeness to those populations, to the sick and their families, and to all those who are caring for them. Let us be close to them with our prayer.
The month of June is dedicated in a special way to the Heart of Christ, a devotion that unites the great spiritual teachers and the simple folk among the People of God. Indeed, the human and divine Heart of Jesus is the wellspring from which we can always draw upon God’s mercy, forgiveness and tenderness. We can do so by focusing on a passage of the Gospel, feeling that at the centre of every gesture, of every word of Jesus, at the centre there is love, the love of the Father who sent his Son, the love of the Holy Spirit that is within us. And we can do so by adoring the Eucharist, where this love is present in the Sacrament. Then our heart too, little by little, will become more patient, more generous, more merciful, in imitation of the Heart of Jesus. There is an ancient prayer — I learned it from my grandmother — which said: “Jesus, make my heart resemble yours”. It is a beautiful prayer. “Make my heart similar to yours”. A beautiful and short prayer, to pray during this month. Shall we say it together now? “Jesus, let my heart resemble yours”. Once more: “Jesus, let my heart resemble yours”.
I wish everyone a happy Sunday. I was about to say ‘a happy and hot Sunday’. A happy Sunday. Please, do not forget to pray for me. Enjoy your lunch. Arrivederci.
예수님, 제 마음이 당신의 마음을 닮게 하소서.
제 이기심을 내려놓고 당신을 조금이라도
닮을 수 있다면 전 늘 당신을
만나고 있음을.
오늘
전
어떤 모습으로
보내고 있는지 잠깐 묵상합니다.
감사합니다.
Jesus, make my heart resembles yours.
아름답고도 깊은 기도입니다